불임의 이해
불임의 이해
◈ 정상적인 부부는1년 내에 10쌍 중 9쌍이 아이가 생기게 됩니다.
그러나 피임을 하지 않고 정상적인 부부생활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1년 이상 아이가
생기지 않는 경우를 불임이라고 합니다.
14-2 불임증상
14-3. 불임
14-4. 불임 위험
트랜스 지방 과다섭취, 불임 위험
탄수화물이 아니고 오메가-6 다불포화지방산에서 섭취하는 칼로리 중 2%를 트랜스 지방으로 대체했을
때는 불임위험이 79%, 오메가-3 단불포화지방산에서 섭취하는 칼로리 중 2%를 트랜스 지방으로 바꾸었
을 때는 2배 이상 각각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트랜스 지방 2%를 실질적인 양으로 환산해 보면 여성의 하루 칼로리 섭취량을 1천800이라고 했을 때 불
과 4g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밝히고 이는 여성이 트랜스 지방 섭취를 조금만 늘려도 임신성공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겠다.
트랜스 지방은 세포에서 염증, 포도당 대사, 인슐린 민감성에 관여하는 수용체의 활동을 억제한다이 수용
체의 활동을 촉진하는 약이 불임의 원인이 되는 다낭성난소증후군(POS) 환자의 임신 가능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14-5. 불임의 근본적 원인
1. 생식기관 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
2. 호르몬의 균형이 깨져 불균형 상태
호르몬 불균형과 생식기능 저하는 동전의 앞뒷면 처럼
한쪽에 문제가 생기면 나머지도 영향을 받아 불임원인으로 발전한다.
①환경오염에서 오는 환경 에스트로겐
②피임제 사용등 호르몬제의 무분별한 사용
③편식 등에 의한 식생활 습관
④운동 부족등 잘못 된 생활방식
⑤강한 스트레스를 비롯한 여러 문제들이 호르몬 균형을 무너뜨리는 원인 이된다
◈ 불임판정 기준
1.액화된 후에는 액체상태이다.
2.액화시간은 20분 이내여야 한다.
3.산도(PH)는 7.2~7.8, 총량은 2~6ml이다.
4.활동성은 4시간 이내에 적어도 50%이상이 활동적이어야 한다.
5. 정자수는
-6천만/ml 이상이 정상이다.
-6천만~2천만/ml은 준정상이다.
2천만/ml이하는 수정 능력이 없다.
6. 정자 수가 25% 이하여야 이상적인 정자의 형태이다.
7. 응집반응은 없어야 한다.
8. 염증세포는 없어야 정상이다.
◈ 비타민 D 결핍이 불임의 원인이 된다.
한 불임연구소는 파트너를 임신시키지 못하는 남성들간의 비타민 D 결핍증
에 대해 시사했다. 이 발견은 DNA 분절화현상 발생률을 연구하는 연구가들
을 놀라게 했다.
수정능력 전문가 앤 클락 박사는 수정 능력에 문제가 있는 약 800명의 남성
들의 혈액을 조사했는데, 그들 중 약 1/3이 비타민 D 정상수치보다 낮은 수
치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 비만은 불임을 유발 시킨다.
◈ 남성 불임의 세가지 원인.
1. 정액이나 정자의 이상.
– 무정자증 : 대표적인 남성 불임의 원인으로 정액안에 정자가 전혀 없는 증상입니다.
– 정자 감소증 : 정액 중 정자의 수가 정상 수치보다 현저히 적은 증상입니다.
2. 정자의 이동 장애
– 정자 무력증 : 활동정자의 비율이 낮거나 정자가 기형으로 생겨서 정자의 움직임이 활발하지
못하고 힘이 없어 여성의 난소에 진입하지 못하는 증상입니다.
3. 여성의 질 내에 사정할 수 없는 상황
– 무정액증 : 정자는 있으나 정액이 없는 증상입니다.
– 역류정액증 : 사정된 정액이 사정되지 못하고 역류하여 방광으로 들어가는 증상입니다
– 사정불능 : 지루나 조루, 음위(발기불능)등이 원인이 되어 질 내에 사정이 불가능한 경우입니다
◈ 여성 불임의 세가지 이유
1. 난소의 이상
-난소의 발육이 부진하여 배란이 잘 안되는 경우,
배란된 난자의 질이 나쁜 경우,종양 및 염증이 있는 경우,
기능이 쇠약해진 경우, 수술로 난소를 적출한 경우.
2. 나팔관의 이상
-연동운동과 내부 섬모에 이상이 있어 정자의 수송의 능력이 없는 경우,
유산 후 염증으로 유착된 경우, 결핵성 난관염이나 클라디미어 난광염등의 염증이 있는 경우,
혈액순환의 부족으로 어혈이 생긴 경우.
3. 자궁의 이상
– 자궁이 기형인 경우, 자궁에 근종(물혹)이 생긴 경우,
자궁 내막이 세균이 감염되어 자궁내막염이 생긴 경우,
근종제거나 루프 등 자궁 내막에 상처가 생기거나 유착된 경우,
자궁 경부 점액질의 분비가 원활하지 못하여 정자 수송이 불가능한 경우.
◈ 불임 한방치료법
1. 불임은 대체로 동양의학에서 더욱 치료의 효과를 보고 있으며 여러 치료 방법 중 제일 효과를 보고 있는 좌 훈 요법을 소개한다.
2. 좌훈 요법
끓는 약재의 김을 쏘이는 방법으로 자궁경부에 체온에 의해 녹는 좌약을 넣고 좌훈 을 하는 방법과 자궁
세정 술 시술 후 자궁강내에 약을 채워 넣고 좌훈 을 하는 방법이 있다.
자궁, 질, 및 항문에 증기를 쏘임으로써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하여 여성호르몬 분비 촉진 및 자궁을 부드
럽게 변하게 한다.